부제는 '주식 투자부터 자산 배분까지'이다.
1장 재테크란 무엇일까요?
투자지평: 인생이 묻어나는 투자 계획 26
투자지평은 시간지평이라고도 합니다. 투자지평의 사전적 의미는 ‘투자자금을 회수하기까지의 기간’입니다만, 개인적인 의견으로는 인생이 묻어나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저축 계획과 통장 쪼개기 35
저축 계획과 예산을 짤 때 주의할 점은, 너무 엄격하게 세우면 지키기 어렵다는 것입니다. 지나친 통제와 계획은 오히려 재무목표 달성에 방해가 됩니다.
조금은 느슨하게, 하지만 목표만은 확실하게 이룰 수 있는 계획이 필요합니다.
위험성향: 당신은 어떤 투자자인가요? 40
투자에 있어 충분한 시간을 준다는 것은 자산을 오래 보유한다는 의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투자지평이 길수록 위험을 감내할 수 있는 객관적인 능력이 크다고 하는 것입니다.
위험자산에 투자해야 하는 이유 46
저는 2030 여러분들이 자산의 일부만이라도 위험자산에 투자해보길 권합니다. 첫 번째 이유는 방금 말한 것처럼 우리의 투자지평이 길고 위험 감내능력이 높기 때문입니다.
두 번째 이유는 우리가 조금이라도 부자가 될 수 있는 확률을 높이기 위해서입니다. 안타깝지만, 노동(근로) 수입만으로는 풍족한 삶을 살기 어려운 것이 현실입니다.
자산을 불리는 3요소: 원금, 수익률, 시간 49
자산을 불리는 데는 3가지 요소가 있습니다. 바로 원금, 수익률 그리고 시간입니다.
제가 생각하는 이상적인 투자란, 본인의 총자산 대비 상당한 금액을 점진적으로 투자하는 것입니다. 단, 너무 큰 욕심부리지 않고 위험관리를 하면서 적당한 수익률을 추구해야 합니다.
목표수익률: 돈을 얼마나 벌어야 만족할 수 있을까요? 52
확실하게 말씀드릴 수 있는 것은, 바로 투자는 빠르면 빠를수록 좋다는 것입니다. 500만 원으로 5,000만 원을 만들 마법의 투자 방법을 찾는 것보다 최대한 이른 나이에 매월 소액으로 적당한 수익률을 추구하는 것이 좋습니다.
위험을 감수하지 않는 것이 가장 위험합니다 57
자금을 안전하게 굴리기 위해서는 일단 자금의 성격과 투자기간을 정해야 합니다. 노후자금 마련과 같은 장기목표는 인플레이션 방어를 위해 위험자산에 투자하는 것이 안전한 방법이 됩니다.
2장 자산군 이해하기
주식: 매력적이면서도, 어려운 것 95
경제적 특징으로 주식 구분하기 102
3장 자산배분
행동재무학: 우리가 욕심을 부리는 이유 173
이처럼 알면서도 지키지 못하는 것이 인간의 약점입니다. 일반 투자자들에게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 중 하나가 바로 자산배분 투자 방법입니다.
자산배분의 장점으로는 1) 재기 불가능한 손실은 피할 수 있다, 2) (상대적으로) 일희일비 하지 않는다, 3) 변동성이 낮다, 4) 매매 타이밍에 대한 고민을 덜 할 수 있다, 등이 있지요. 자산배분 투자의 단점으로는 주식의 기대수익률을 따라올 수 없다는 점이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주식투자가 주는 ‘재미’ 역시 없지요.
ETF: 주식과 비슷하면서도 다르다 235
레버리지/인버스 ETF가 장기투자에 부적합 이유 258
다시 강조하지만, 레버리지가 장기투자에 부적합한 이유는 결국 변동성이 높으면 장기수익률에 불리하기 때문입니다. 꾸준히 2.5%를 달성하는 포트폴리오, 10%와 –5%를 반복하는 포트폴리오 그리고 20%와 –15%를 반복하는 포트폴리오의 연 기대수익률은 산술적으로 동일하게 2.5%입니다. 그러나 30년 장기 수익률을 관찰하면, 변동성이 낮은 포트폴리오의 성과가 가장 우수합니다.
'종잣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테크 방법 내년 전략 (0) | 2022.12.20 |
---|---|
집값폭락 대처방안 (0) | 2022.12.19 |
투잡을 하는 이유 5가지 (0) | 2022.12.19 |